¡Sorpréndeme!

[뉴스프라임] 역대급 엔저에 엔테크 열풍·여행 붐…기업들은?

2023-06-21 0 Dailymotion

[뉴스프라임] 역대급 엔저에 엔테크 열풍·여행 붐…기업들은?


기록적인 엔저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엔테크 열풍에 여름 일본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국가적으로 봤을 때, 엔저는 우리나라 수출 회복에 복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엔저 상황과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오늘(21일) 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이 100엔당 900원대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그제(19일) 한 때는 2015년 이후 약 8년 만에 800원대로 떨어졌죠. 일본의 통화 완화 정책 영향인데요. 미국과 유럽 등 세계에서 물가를 잡기 위해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가는데, 일본은 왜 반대 분위기인가요?

엔저에 쌀 때 미리 사두자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본 증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주의할 점은 없을까요?

그런데 우리나라 입장에선 엔저 현상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을 것 같아요. 일본 여행이 인기인데 장기화 시 일본으로 나가는 돈이 많아지는 것 아닙니까? 또 자동차 등 경쟁 관계에 있는 상품은 일본의 경쟁력이 더 높아지지 않겠습니까?

반도체 업황 악화로 올해 1분기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일제히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최고 수준을 보이면서 기업들이 빚으로 버틴다는 얘기도 나와요?

무역협회가 발표한 올해 3분기 수출산업 경기전망 지수는 108.7로 6분기 만에 처음으로 기준선이 100을 넘었습니다. 반도체 불황이 끝이 날까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64개국 중 28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내려간 겁니다. 평가 시 경제 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4개 분야로 나눠 순위를 매긴다고 하는데요. 이중 우리나라가 성과를 보인 부분과 취약한 부분은 뭔가요?

미국 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 전무가 "경제학자 80% 이상이 미국이 경제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 가운데 하나인 S&P500이 저점에서 20% 이상 오르고, 실업률도 최저 수준으로 내려오면서 경제침제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시각도 있어요?

이번주 의회에 출석해 통화정책 보고에 나서는 파월 연준 의장의 입에 시선이 모아집니다. 연준이 올해 추가로 두 차례 인상 가능성을 예고하면서, 시장에서는 연준의 다음 조처를 놓고 혼란스러워하는 상황인데요. 파월 의장이 혼란을 잠재울 수 있을까요?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최근 각국의 경제 상황에 맞춰 연준과 탈동조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이 제각각일 때,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떻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